1) Spring 실습 환경 설정 & 입문
<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>
- Postman : 특정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 데이터를 받는것에 최적화 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이다.
- JDK : 자바 설치함
- Intellij IDEA : 실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웹 개발환경이다
- Spring initializer :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https://start.spring.io/
<Spring initializer을 이용해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하기>
- maven, gradle : 라이브러리, 도구 관리 툴, 대부분 gradle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
- group : 기업 적기
- artifact : 빌드된 결과물, 프로젝트 명
- Dependencies : 제공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Spring web 만들기
- Thymeleaf : HTML을 만들어주는 Template engines 사용하기
설정을 완료한후 GENERATE 버튼을 누르면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다.
Intellij에 들어가 Open or import를 누르고 다운로드된 파일의 압축을 풀어 해당 폴더의 build.gradle 파일을 연다
<프로젝트 폴더 세부적인 의미>
- .idea : intellij가 사용하는 설정파일
- gradle : gradle을 사용하는 폴더
src는 main 폴더와 test 폴더로 나뉘어진다.
- src의 main 폴더
- java -> 실제 패키지와 소스파일이 존재한다.
- resources -> 자바 파일을 제외한 나머지가 다 들어있다.
- src의 test 폴더
- 테스트 코드와 관련된 파일들이 들어간다. 테스트 코드가 매우 중요하다.
- build.gradle : 버전 설정, 라이브러리 import 하는 설정 파일. Spring Boot가 알아서 설정해준다.
- gitignore : 소스코드 관리
설정에서 Compact Middle Packages 선택하기
웹 브라우저 (localhost:8080) 또는 Postman을 활용하여 테스트한다.
스프링 부트는 기본적으로 8080포트에 실행됩니다.
'Back-End > 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) Spring Boot 게시글 읽기: Read (1) | 2023.11.26 |
---|---|
5) Spring Boot 롬복과 리팩터링 (0) | 2023.11.25 |
4) 게시판 만들고 새 글 작성하기: Create (0) | 2023.11.24 |
3) MVC 패턴 이해와 실습 (1) | 2023.11.23 |
2) Spring Boot 시작하기 (0) | 2023.11.22 |